자바 람다와 함수형 인터페이스 - part2 함수형 인터페이스란 ? 잘 알고 있듯이 Runnable 인터페이스는 run() 이라는 추상 메서드 하나만 가진다. 이처럼 추상 메서드 하나만 갖는 인터페이스를 자바 8부터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이런 함수형 인터페이스만을 람다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아래 함수형 인터페이스 TestFunctionInterface를 만들었는데 위에 @FunctionInterface 어노테이션을 붙이는 것은 옵션이다. 이 어노테이션이 붙을 경우 컴파일러는 인터페이스가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조건에 맞는지 검사한다. 즉 단 하나의 추상 메서드만을 갖고 있는지 확인한다. 1234567891011public class Lambda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stFun.. Java 개발 이야기 6년 전
자바 람다와 함수형 인터페이스 - part1 람다가 도입된 이유를 크게 기업 환경 변화와 프로그래머들의 요구라고 했는데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근래에 가장 핫한 용어 가운데 빅데이터가 있다. 기업들은 빅데이터의 분석 및 활용을 통해 기업 전략을 수입하고, 수익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이런 빅데이터 분석은 당연히 ICT 기술을 통해 이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들에게 빅데이터를 프로그램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해졌다. 그 방법의 중심에는 멀티 코어를 활용한 분산 처리, 즉 병렬화 기술이 필요하다. 지금은 하나의 CPU 안에 다수의 코어를 삽입하는 멀터 코어 프로세서들이 등장하면서 일반 프로그래머에게도 병렬화 프로그램이에 대한 필요성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자바8 에서는 병렬화를 위한 컬렉션(배열, Lis.. Java 개발 이야기 6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