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Spring] 생성자 방식과 설정 메서드 방식을 이용한 DI 선언하기 스프링에서 DI를 사용할 때 2가지 방식을 이용해 사용한다.달리 설명할 필요없이 간단한 예제코드로 끝내 보자. 생성자 방식 스프링 XML 설정에서 생성자를 이용해서 의존 객체를 주입할 때 사용한 태그는 태그 이다. 만약 생성자에 의존 객체가 2개이면 순서대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순서를 순서대로 사용하지 않는다면 index에 순서를 기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바 코드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public class HelloFormat { public String format; public void setFormat(String format) { this.format = format; }} public class Greeter { private HelloFormat hel.. Spring 스프링 6년 전
[스프링/Spring] DI를 알기 전에 GenericXmlApplicationContext 대해서 따로 Spring Project를 만든 것이 아니라 Maven Project로 생성해보았다. Maven개념과 하나하나 셋팅해보는 것도 재미랄까.... 중요한 것은 DI가 무엇이고 어떤 개념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니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하지 않겠다. 예제는 첨부파일에 올려놓겠다. 항상 스프링 책을 보면 XML에 bean에 생성을 해 놓고 메인에서 GenericXmlApplicationContext로 생성된 bean을 가져오는 것을 볼 수 있다. GenericXmlApplicationContext 클래스는 XML로부터 정보를 읽어와 객체 생성과 초기화를 수행하는데, XML 파일이 아닌 자바 설정 코드나 그루비 설정 코드를 이용해 객체 생성 및 초기화를 수행하는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래 사진은 .. Spring 스프링 6년 전
[스프링/Spring] DI를 왜 사용해야 할까 ? DI는 Dependency Injection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의존 주입이라고 주로 번역하는데 이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려면 먼저 "의존"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이해가 필요하다. 의존은 UML을 공부하거나 디자인 패턴을 공부했다면 알고 있을 수 있으나 신입일 경우에는 모를수도 있다. 여담이지만 스프링을 공부하려면 디자인 패턴을 공부하는 것이 매우 좋을 듯하다. 왜나하면 스프링이 디자인 패턴을 토대로 만들어진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이다. DI도 어떻게 보면 디자인 패턴에서 나온 하나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의존이란 무엇일까 ? 의존은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메서드를 실행할 때 이를 "의존" 한다고 한다. 의존의 예를 들자면 아래와 같다. 아래 자동차는 본체와, 엔진, 타이어 객체가 있어.. Spring 스프링 6년 전